본문 바로가기
NETWORK

2.DATA LINK 1.PHYSICAL LAYER / 1.NETWORK INTERFACE

by 정리1023 2023. 10. 8.

DADTA LINK LAYER

 

-NETWORK 계층은 다른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달
-데이터링크계층은 물리적으로 직접 연결된 인접한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제어
-원하는 곳에만 데이터를 보낼수 있음 / 이러한 이유는 컴퓨터 마다 고유의 MAC주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에 출발지와 목적지의 MAC주소를 추가하여 원하는 곳으로 데이터를 전달할수 있음


L2 스위치

-MAC주소와 해당 장비의 포트번호가 기록된 MAC TABLE을 보고 목적지에게만 FRAME을 전송 / 따라서 스위치에서는 불필요한 트래픽이 감소하게 되며,
이는 곧 네트워크에서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향상으로 이어진다.

 

-데이터가 특정 포트로만 전송되어 다른 PORT가 전송하는 FRAME과 충돌하지 않음
-수백 개 까지 PORT수가 가능하며 PORT별 다른 속도 가능
-FRAME처리 절차가 미리 칩에 내장 / 하드웨어 방식 →  속도 및 보안이 좋음

 

그리고 만약 데이터를 보낸 장비의 MAC 주소가 처음 보는 주소라면, 해당 포트와 MAC 주소를 기억해두었다가
다른 장비가 그 MAC 주소로 데이터를 보내면 기억해두었던 포트로 데이터를 보내기도 하고,
 
데이터를 보낸 장비의 MAC 주소는 알고 있는 주소인데
데이터의 목적지 MAC 주소가 처음 보는 주소라면 모든 포트로 데이터를 뿌려버린다.

   

FRAME 처리 방식
Store-and-forward 
-모든 프레임을 먼저 받고 처리 시작
-프레임의 에러 유무 / MAC 주소 확인
-에러가 발견되면 재전송을 요구 에러 복구 능력이 뛰어남.

 

Cut-through

-FRAME의 MAC 주소만 확인 후, 바로 전송하는 방식 속도↑

-MAC주소만 확인하기 때문에 처음 48비트만 확인 / 나머지는 확인 안함

-에러를 발견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음 / 오류가 있을 경우 목적지에서 폐기함


PHYSICAL LAYER


-아날로그 신호를 0 1 나열로 해석

-0 1 나열을 아날로그 신호로 바꿔 전선으로 내보냄  
-데이터링크계층에서 받은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 또한 다른 곳에서 온 전기적 신호를 데이터로 변환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바꾸는 일을 엔코딩  
-전기적 신호를 데이터로 바꾸는 일을 디코딩


 

 

 

-두 개의 근거리통신망(LAN)을 서로 연결해 주는 통신망 연결 장치
-1:1 통신만 가능
-브릿지, 스위치도 리피터 기능이 있어 사용감소 추세

 

 

 

 

 

-가까운 거리에 있는 장비들을 케이블을 사용하여 연결해 주는 장치
-리피터와 같이 전기 중폭기능 / 여러대간 통신 가능 (멀티포트 리피터)

 

 

-연결된 모든 장비에 신호를 전송(FLOODING) - 단점 - 스위치로 해결가능
-많이 연결할 경우 부하가 심해질 수 있음
-데이터가 전달 되는 동안 다른 장비들은 통신을 할 수 없고 끝날 때 까지 대기(동시 전달 시 충돌, Collision)